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상식

[금융 상식] ETF에 대해 알아보자

by SSUNGG 2023. 1. 11.

 

ETF는 무엇인가? 어떤 특징이 있는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상장지수펀드)의 약자로, 쉽게 말하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주식시장에 상장된 펀드를 말합니다.

 

ETF는 펀드가 가진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데요, 먼저 한 주의 가격이 너무 비싸 개별 구매하기가 어려웠던 비싼 주식들도 ETF를 이용한다면 소액으로 쪼개서 투자가 가능합니다.(ETF 한주 당 가격은 비교적 저렴합니다) 

또한, 펀드와 비교해도 ETF는 보수가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주식형 펀드는 대략 연간 1~2%의 보수를 지불하는데 비해, ETF는 연 0.3~0.4%의 보수를 받는 것이 보통입니다. ETF의 보수가 낮은 이유는, 대부분의 ETF가 적극적인 액티브 투자 방식이 아니라 특정한 지수를 정해놓고 따라가도록 세팅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ETF의 종류

첫번째로는 가장 일반적인 시장 ETF가 있습니다.

즉 시장 ETF는 시장 전체를 그대로 ETF로 만들어서, 해당 ETF를 사면 시장 전체를 산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상품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KOSPI ETF, KOSDAQ ETF(한국시장), S&P500 ETF, 나스닥 ETF, 다우존스 ETF(미국시장) 등이 습니다.  

 

두번째로는 섹터 ETF가 있습니다.

업종별로 구분하여, 비슷한 업종에 있는 기업들 끼리 묶어 놓은 ETF를 말하는 것인데요, 반도체, 화장품, 바이오, 철강, 자동차, 게임 등 정말 다양한 ETF가 존재합니다.

 

세번째로는 스타일 ETF가 있습니다.

주식이 가지고 있는 스타일 별로 묶어 놓은 ETF로, 대형주 ETF, 가치주 ETF, 고배당 ETF, 경기소비재 ETF, 경기방어 ETF 등이 있습니다.

 

네번째로는 채권 ETF가 있습니다.

한국이 발행한 국채에 투자하는 국채 ETF, 만기가 얼마 안남은 채권을 모아 놓은 단기채권 ETF, 미국 채권을 사는 미국채 ETF, 우량한 기업들이 발행한 채권에 투자하는 회사채 ETF 등이 있고, 주식보다 고르는 것이 비교적 어려운 채권도 ETF를 활용하면 쉽게 투자가 가능합니다.

 

다섯번째로는 원자재 ETF가 있습니다.

원유 ETF, 금 ETF, 은 ETF 등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ETF 현황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 수는 666개, 순자산 규모는 약 78조원으로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2012년 국내에서 ETF가 처음 생겨난 이후로 갯수, 순자산 규모는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국내 ETF 시장 규모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상장종목수 198 256 413 450 450 468 533 666
순자산가치 총액 216,300 251,018 356,109 410,066 517,123 520,365 739,675 785,116

단위 : 개, 억원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링크)

 

우리나라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자산운용 등이 ETF를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자산운용사로 볼 수 있고, 특히 미래에셋과 삼성자산운용이 상장 종목 수, 순자산가치 측면에서 타사 대비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삼성자산운용의 ETF 수 및 순자산가치 : 153개, 약 33조원

 * 미래에셋의 ETF 수 및 순자산가치 : 153개, 약 30조원

 

대표적인 국내 ETF

KODEX(삼성자산운용), TIGER(미래에셋 자산운용), KBSTAR(KB자산운용), KINDEX(한국투자신탁) 등이 국내의 대표적 ETF입니다. 

 

 

 

이상으로 ETF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드렸고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요새 제가 구독하고 있는 박곰희TV 유튜브를 참고로 하였습니다)